본문 바로가기
회계의 모든 것/회계 잡지식의 모든 것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1

by 밤들 2023. 5. 13.
반응형

공인회계사(CPA, KICPA) 시험 응시

 

● 서론

안녕하세요. 밤들입니다. 인터넷에 보면 많은 공인회계사(CPA, KICPA) 관련 정보들이 있지만 모든 것을 총 망라한, 그리고 세세하게 어떤 방식으로 준비하실지 정보가 너무 중구난방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 시험 응시를 한 적이 없는 분들의 대충 복사, 붙여 넣기 정보글도 많습니다.

 

그래서 직접 시험을 응시해 본 입장에서 해당 블로그에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해 세세하게 다뤄보려 합니다. 제 블로그에서 공인회계사 시험 응시에 대한 모든 것 시리즈(1편 2편...)만 보시면 바로 감이 잡힐 수 있도록 완벽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공인회계사 시험 응시 자격 요건

1.1 영어시험의 종류 및 합격에 필요한 점수

위에 있는 것 중 1개만 충족하면 되니 각자 본인의 사정에 맞춰서 준비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토익 700점으로 해당 요건을 맞추는 게 대부분입니다.

 

또한 2025년부터 아이엘츠(IELTS)가 추가된다고 합니다.

 

1.2 학점이수

 

 학점 이수는 2024년 시험까지는 현행, 2025년 이후 시험부터 변경된 학점 이수가 필요합니다.

 

각 전공에서 어떤 과목이 이수학점으로 인정되는지, 그리고 학점이수(학점은행제 등등) 방법이 무엇인지는 추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 공인회계사 시험과목

2.1 1차 시험 시험과목 등

위에 설명했듯이 자격요건(영어시험 1과목 점수 자격요건 충족 및 회계학 12학점, 경영학 9학점, 경제학 3학점)을 갖추면 이제 시험과목들을 회독하는 게 중요합니다.

 

공부 방법은 추후 작성하기로 하고 1차 시험에 대한 교시, 시험기간, 시험과목, 문항수, 배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쉽게 경영학, 경제원론, 상법, 세법개론, 회계학 이렇게 5과목을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부를 시작해보시면 알겠지만 5과목이라고 5과목만 공부해서 되는 건 아닙니다. 여기서 자세히 다루지는 않겠지만 3교시 회계학을 예시로 들면 회계학에는 중급회계, 고급회계, 정부회계, 원가회계 이렇게 4과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경제도 미시, 거시 등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리 알고 가실 필요는 없고 공부를 시작하시게 되면 자연스럽게 알게 되실 겁니다.

 

1차 시험 5과목은 객관식으로 진행됩니다. 시험 합격 기준은 모든 과목 40% 이상의 점수를 필수로 넘어야 하며 모든 과목 합계가 330점(550점 만점, 60% 이상)을 넘어야 합니다. 

 

이렇게 330점 이상의 인원들을 1등부터 쭉 줄을 세우며 전체 시험 응시자수를 고려하여 합격자 수를 상대평가로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제가 공부할 때는 370점 이상을 안정권으로 봤습니다.

 

 

 

 

2.2 2차 시험 시험과목 등

이는 2차 시험 과목들의 1일 차, 2일 차 각 교시 및 시험시간, 시험과목, 배점에 대한 문제입니다.

 

세법, 재무관리, 회계감사, 원가회계, 재무회계에 대해서 배우게 되며 1차는 전부 객관식이지만 2차는 전부 주관식ㆍ서술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2차 시험은 1차 시험과 달리 유예제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세법, 회계감사를 합격했으면 2024년에는 나머지 3개 과목(재무관리, 원가회계, 재무회계)를 합격하면 됩니다. 이렇게 3개 과목을 다음 해에 합격해야 된다 라는걸 '3유예' 라고 표현합니다.

 

합격 안정권은 1유예로 보통 합격한다고 가정하고 회계법인에서 인턴을 하며 1과목 준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유예도 인턴을 하면서 준비하시는 분들도 있고 아니면 공부만 전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2유예 까지는 보통 안정권으로 보는 편입니다.

 

3, 4, 5유예는 시험공부에 올인을 하시며 1년을 오로지 2차 시험 과목만 신경 쓰시면 되는 분들입니다.

 

4유예 혹은 5유예를 받게 될 경우 다시 1차 시험부터 준비해서 2023년 1차 합격, 2차 4유예 / 2024년 1차 시험 다시 응시 후 합격 2유예 / 2025년 2유예 과목 최종합격 이렇게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2.3 시험장소

시험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2차 시험을 보시게 되는 지방러 분들이 계신다면 한 달 전, 또는 2~3일 전 미리 올라오셔서 적응하시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지금까지 공인회계사 시험 자격요건 및 1, 2차 시험 과목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공인회계사 시험에 대한 모든 것 2편은 제가 회시생으로 준비했던 전부에 대해 준비했으니 많은 예비 회시생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음 편에 또 다른 정보들을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또는 본인 작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