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의 모든 것/회계 잡지식의 모든 것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4

by 밤들 2023. 5. 20.
반응형

공인회계사(CPA, KICPA) 시험 응시

 

 

안녕하세요. 공인회계사(CPA, KICPA) 시험 응시 관련된 내용은 계속해서 6편까지 시리즈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5. 공부방법(★★)

 

5.3 토익 시험 준비

- 우선 토익 시험을 준비하기에 앞서 제일 중요한 것은 토익시험은 어디까지나 시험 자격 요건을 갖추기 위함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가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준비의 경우 짧게 올인해서 첫 시험에 바로 700점만 넘기면 됩니다. 공부 기간은 보통 1달 이내로 가져가시는게 일반적입니다. 또 보통 이때는 중급회계(회계학원론)나 학점은행 정도만 토익과 함께 병행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 토익 시험 같은 경우 영어시험 이라는 개념보다는 스킬에 가깝기 때문에 독학보다는 인강을 통해 해당 스킬들을 습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는 강의를 무제한으로 들을 수 있는 패스권을 구매했으며 환급반으로 하여 대략적으로 10만원 이내로 강의 수강을 했었습니다. 사람마다 자기한테 맞는 공부법이 있어 정답은 없지만 토익 같은 경우는 제가 했던 방법을 정말 강추드립니다.(★★★★★) 

 

- 토익 시험의 경우 단어공부 / RC / LC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눠서 공부하면 됩니다. 단어는 요령이란 것이 없기 때문에 토익 단어책을 사서 보셔도 좋고 아니면 바로 문제풀이 하면서 모르는 단어들만 정리하셔도 괜찮습니다. LC / RC는 강의를 통해 스킬을 습득하시고 문제 유형에 맞춰 풀이를 하시는 방식으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5.4 공부순서

- 일반적인 공부순서는 기초강의 수강 → 2차 시험 준비 → 1차 시험 준비 순서로 준비하였습니다.

 

- 여기서 기초강의는 회계학 원론, 중급회계, 고급회계, 원가회계, 세법 기본, 세법 정도를 말하며 회계사 시험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이 과목들은 1차 시험, 2차 시험 모두 해당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기초부터 탄탄하게 다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2차 시험 준비의 경우 주관식 서술형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1차 시험의 경우는 객관식 입니다. 이 부분에 맞춰 시험 준비를 효율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객관식 과목은 글자 한 자 한 자 외울 정도로 너무 힘을 써도 안되며 2차 시험에서 빈출 문제에 대해서는 글자 한 자 한 자 철저하게 외워야 합니다.

 

회계사 시험의 경우 저처럼 숫자와 수학이 좋아서 하시는 경우도 많은데 법 과목(세법, 상법 등) 같은 경우는 암기능력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공부순서는 기본적인 틀은 아래 적어드리는 순서이지만 디테일하게 많이 바뀌기 때문에 그대로 하셔도 되겠지만 참고하셔서 각자 과목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셔서 순서를 구성하셔도 됩니다. 회계학 원론과 세법 기본은 회계학 또는 세법 공부를 한 번도 안 하신 경우(대학에서도 수강 안 하신 경우)에만 추천드립니다.

 

- 회계학 원론(필요시) → 세법 기본(필요시) → 중급회계(2차) → 고급회계(2차) → 원가회계(2차) → 세법(2차) → 재무관리(2차) → 회계감사(2차) → 경영학(1차) → 경제원론(1차) → 상법(1차) → 세법(1, 2차) → 정부회계(1, 2차)

 

- 저 같은 경우 해당 순서로 시험준비를 했으며 회계학의 경우 2차 시험 준비를 하며 1차는 따로 준비 하지 않았으며 세법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에 한번 더 넣어주었습니다. 이유는 세법 같은 경우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시험 전에 따로 암기를 했습니다.

 

해당 방법의 장점은 회계학(중급, 고급 원가관리, 정부회계를 포함하여)과 세법에 대해 따로 1차 시험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2차 시험 준비를 바로 하기 때문에 초기 진입장벽이 매우 높습니다.

 

저도 경제학 전공으로 회계학은 비전공이어서 회계학 원론, 세법 기본 강의를 들었음에도 바로 2차 시험 준비를 하면서 처음에 많이 힘들어했던 기억이 납니다.

 

- 통상적으로 2차 시험을 준비하시다가 1차 시험이 4~6개월 정도 남은 전년 8월~10월 정도에는 1차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또한 정부회계는 시험 1달 전에 시간을 조금만 할애하였습니다.

 

- 기본적으로 공부 방법은 인강을 1.4~1.8배로 들으면서(경영, 상법 등은 1.8 / 다른 과목들은 1.4) 강의를 처음 들을 때 완벽하게 필기를 해두어야 합니다. 추후 이해 및 암기가 될 때 까지 무한 회독하시면서 문제풀이 병행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각 과목별 특징에 따른 공부방법은 후술 할 테니 계속해서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또는 본인 작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