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인회계사(CPA, KICPA) 시험 응시 관련된 내용은 계속해서 6편까지 시리즈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5. 공부방법(★★★★★)
5.5 1차 시험공부방법
- 경영학 : 경영학 같은 경우 1차 시험에만 해당됩니다. 따라서 객관식 준비만 하시면 됩니다. 다른 2차 시험에 해당하는 과목들과 달리 옳고 그름 정도만 알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하시는 게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강의를 듣되 암기보다는 진도를 나가는데 집중해 주시고 재무관리 정도만 이해하시면서 강의를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강의 진도를 우선적으로 나가시고 완강 후에 암기를 하시면 되겠습니다.(상황에 따라 강의를 안 듣는 회시생들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정도로 그리 어렵지는 않은 과목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후 과정은 각자의 공부법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회독을 한 번 정도 더 돌리시면서 문제풀이를 병행하시고 오답노트 정리하시고 워크북으로 부족한 부분 보완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경영학과 학생이 아니라 경영학 강의를 들었으며 강의는 1.6 ~ 1.8배로 수강하였습니다.
- 경제원론 : 경제원론은 미시, 거시로 나뉘게 됩니다. 저는 대학을 경제학부를 졸업해서 그리 어렵지는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보통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시간투자를 1차 과목인 것을 고려하면 많이 투자하시는 편입니다. 공부 순서는 미시, 거시 상관없지만 거시는 단순 암기, 미시는 이해 기반의 과목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거 같습니다.
따라서 미시 위주로 설명드리자면 강의를 들으실 때는 이해하시면서 넘어가시되 최대한 빠르게 강의를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프가 나오면 직접 그려보시면서 이해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강의를 다 듣고 나시면 이해가 100% 될 때까지 회독을 돌려주시고 문제풀이를 통해 목표 점수를 획득하시면 됩니다.
문제풀이의 경우 공인회계사, 국회8급, 감정평가사 기출까지 풀어주시면 됩니다.
강의는 1.2 ~ 1.4배로 수강하였습니다.
- 상법 : 기본적으로 암기가 많은 과목입니다. 세법의 맛보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암기가 많은 과목인 만큼 강의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휘발성이 강해서 벼락치기로 1차 시험 전에 어느 정도 시간 투자를 해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강의 진도는 이해만 하면서 빠르게 듣되 암기와 문제풀이를 병행하고 틀린 문제들을 체크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방법으로 공부했습니다. 어려운 부분은 암기노트를 따로 만들어서 집중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강의는 1.6 ~ 1.8배로 수강하였습니다.
- 세법 : 저 같은 경우 처음에 가장 이해가 안 되었던 과목입니다. 세법기본은 그럭저럭 이해하고 넘어갔는데 세법 본강부 터는이해가 안 되어 다른 강사님으로 해서 2번 강의를 수강하였습니다. 처음엔 이해도 필요하지만 최종적으로 암기가 중요한 과목이며 휘발성이 정말 강합니다.
강의를 수강하면서 어느 정도 이해와 암기를 하되 절대 꼼꼼히 보고 넘어가시면 안 됩니다. 꼼꼼히 보셔도 완전히 이해도, 완전히 암기도 안 됩니다.
앞에 챕터를 듣고 뒷 챕터를 공부하면 앞에 건 다 까먹는다고 보셔도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완강 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강의를 돌려보시고, 암기는 완강 후에 하시면 됩니다.
세법과 회계학은 큰 틀의 공부방법이 두 가지로 나뉩니다. 2차 강의에 맞춰 주관식ㆍ서술형을 준비하시면서 자연스럽게 1차를 준비하시는 방법, 그리고 1차 객관식 준비 후 2차 심화강의를 들으며 준비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자는 문제풀이 할 때 처음에는 아무것도 쓸 수 없습니다. 거의 답지 베끼면서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감도 잡기 힘들지만 초반만 잘 넘긴다면 투자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1, 2차 준비가 같이 되기 때문에 시간적인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후자는 정석적인 방법으로 비전공자나 암기나 이해가 약하신 분들은 해당 방법으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강의는 1.2배 ~ 1.4배로 수강하였습니다.
- 회계학 : 회계학의 경우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공부할수록 세법 > 회계학으로 세법에 사용하는 시간이 제일 많지만 대부분의 회시생들은 회계학이라는 과목에 흥미를 느끼고 진입하는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회계학의 경우 기본적으로 이해반, 암기반 전형적인 밸런스가 잡힌 공부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되는 과목입니다. 회계학에는 중급회계, 고급회계, 원가관리회계, 정부회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 정부회계는 비중이 작은 편입니다.
나머지 3과목은 이해를 철저하게 하시면서 강의 수강을 빠르게 하시고 암기를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특별한 공부팁이랄 게 없는 과목입니다. 강의는 1.4 ~ 1.6배로 수강하였습니다.
이상으로 1차 과목에 대한 과목별 특징 및 공부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차는 다음 편에 작성할 예정입니다. 위에 글에서도 어느 정도 언급하였지만 강의를 듣는게 중요한 점은 일단 최대한 빠르게 완강을 해야 된다는 점입니다. 이해와 암기는 완강은 회독을 돌리면서 진행을 해주시고 처음에는 간단한 이해와 필기를 꼼꼼히 하시면서 완강에 집중해 주세요.
또한 워낙 긴 시간을 투자해야 되는 과목이니 만큼 체력 관리와 번아웃에 주의하셔서 성공적인 수험 생활 되시길 바랍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또는 본인 작성
'회계의 모든 것 > 회계 잡지식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회계1 - 일본의 복리후생비1 (0) | 2023.05.31 |
---|---|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6 (0) | 2023.05.25 |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4 (0) | 2023.05.20 |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3 (0) | 2023.05.18 |
공인회계사(CPA, KICPA) 맛보기2- 시험 응시 관련2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