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시간은 국가별 회계 그 중에 일본의 감가상각비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가상각비는 자산의 가액에 상각률을 곱하여 계산하고, 내용연수로 상각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취득의 시기는 1년의 도중인 경우도 많고,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월별 계산이 필요합니다.
감가상각비의 계산방법에는 정액법과 정율법의 2종류의 방법이 있습니다만, 월별 계산은 둘 다 동일하게 생각합니다. 자산을 취득한 연도에는 감가상각비의 월할 계산을 잊지 않고 실시하기 위해서도 월할 계산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해 둡시다.
1. 감가상각비를 월별로 계산하는 방법
- 연도 중간에 취득한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1년분을 계상하는 것이 아니라 월별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3월 결산 회사가 10월에 자산을 취득한 경우, 10월부터 다음 해의 3월, 즉 6개월분을 계상해야 합니다.
실제로 사용한 기간을 월 단위로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개인 사업주 의 경우는 원칙 정액법입니다만, 세무서에 신고하는 것으로 정율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법인의 경우는 「건물」 「건물 부속 설비」 「구축물」은 정액법, 그 이외의 고정 자산은 정율법과 자산의 종류에 의해 계산 방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1.1 정액법
정액법에서는 이하의 식으로 계산합니다.
상각율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만, 사고방식으로는 취득가액을 법정내용연수로 나눈 금액을 1년분씩 비용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알기 쉬울 것입니다. 매년 같은 금액이 상각 되어 자산의 가치가 균등하게 줄어들고, 최종적으로 제로가 된다는 이미지입니다.
다만, 실무에서는 잔존가액은 제로로 하지 않고, 자산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1엔으로 합니다.
1.2 정률법
정률법에서는 이하의 식으로 계산합니다.
미상각 잔액이란 취득에 걸린 금액으로부터 전년까지의 감가상각비의 합계를 마이너스한 금액입니다. 감가상각비의 합계가 커짐에 따라 미상각 잔고는 줄어들기 때문에 감가상각비도 해마다 줄어들 것입니다.
계산 방법은 정액법보다 복잡하지만, 자산은 경년에 따라 가치를 창출하기 어려워지는 것도 있습니다. 그러한 자산의 특징에 따른 비용 계상이 가능한 점이 정률법의 장점입니다.
정률법에는 「상각 보증액」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상기의 계산식으로 산출한 감가상각비가 상각보증액에 못 미친 경우는 「개정 취득가액×개정상각율」로 계산합니다.
1.3 월별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의 구체적인 예
여기에서는 감가상각비의 월별 계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계산 결과가 소수가 되었을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으로 처리합니다.
1.3.1 정액법의 경우
아래의 예를 정액법으로 계산해 봅시다.
【예 1】 3월 결산의 회사가 이하의 기계장치를 6월에 취득했다. (상각율:0.100)
- 수명 10년
- 취득가액 100만 엔
=83,333.333
=83,333엔
취득가액에 상각비를 곱하여 10개월분을 더 구합니다. 10개월을 「12분의 10」년으로 생각하여 계산하면 감가상각비는 상기의 금액이 됩니다.
덧붙여 이 0.100이라고 하는 상각률은 10분의 1의 일이며, 단순히 취득가액을 내용연수로 나누는 것과 같습니다. 월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것에 「사용한 월/12」를 곱해 계산합니다. 매년 같은 금액이 상각 되므로 이미지 하기 쉬운 방법입니다.
1.3.2 정률법의 경우
아래의 예를 정률법으로 계산해 봅시다.
【예 2】 3월 결산의 회사가 이하의 기계장치를 6월에 취득했다. (상각율:0.200)
- 수명 10년
- 취득가액 100만 엔
=166,666.666
=166,667엔
감가상각 자산을 취득한 연도 계산 절차는 정액법과 유사하지만 상각률이 다릅니다. 정액법보다 고액입니다만, 다음 해 이후는 미상각 잔고에 상각률을 곱하기 위해, 감가상각비는 서서히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이 예의 차년도의 감가상각비는 100만 엔에서 16만 6,667엔을 마이너스한 금액(미상각 잔액)에 0.200을 곱합니다.
출처 : yahoo.japan 참고
'회계의 모든 것 > 회계 잡지식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회계5(일본) - 회사의 경비처리1 (0) | 2023.06.07 |
---|---|
국가별 회계4 - 통신비란? (일본 회계 관점) (0) | 2023.06.04 |
국가별 회계2 - 국제회계기준(IFRS)이란? 일본의 회계 기준과의 차이 (0) | 2023.06.02 |
국가별 회계1 - 일본의 복리후생비2 (0) | 2023.06.01 |
국가별 회계1 - 일본의 복리후생비1 (0) | 2023.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