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IFRS(국제회계기준)이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생겨났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기준(GAAP), 국제회계기준(IFRS),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이라는 명칭이 계속 나올 테니 개념 알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1. 회계기준의 필요성
기업이 임의로 재무제표의 내용 및 형식을 정해서 작성ㆍ보고한다면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유용성은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준거해야 할 통일된 지침이 필요하며, 이를 회계기준이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각 나라들이 자국의 상황에 맞는 회계기준을 제정하였기 때문에 국가별로 회계기준이 동일하지 않았지만 기업이 다국적 기업화 되고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간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일 높이는 통일된 회계기준이 대두되었습니다.
2.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회계기준은 재정기관이 일반적으로 제정ㆍ공포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강제로 이행하도록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회계기준은 회계정보의 공급자와 이용자 모두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야 비로소 회계실무의 지침으로 인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회계기준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enerally Accepted Accounitong Principles, GAAP)라고 부릅니다.
3.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우리나라는 필요성에 따라 2011년부터 K-IFRS의 적용하도록 의무화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회계기준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K-IFRS : 상장기업 및 금융회사, 공기업 등
일반기업회계기준 : K-IFRS를 적용하지 않은 외부감사대상 주식회사
중소기업회계기준 : 외감 대상이 아닌 주식회사
3.1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제도 변화
(1)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으로 적용 대상 기업을 규정(상장기업 및 금융회사, 공기업 등)
(2) 연결재무제표 중심의 공시체계로 전환
(3) 지배기업의 별도재무제표 공시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영향의 사전 공시
4.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국제회계기준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을 적용하여 국가 간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이 높아지게 할 필요성에 의해 제정되었습니다.
이는 각 국가마다 상이한 회계정보의 보고에 대한 규제가 표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다국적기업의 기준을 세우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국제회계기준의 주요 특징으로는 국제회계기준이 규칙중심(rule based)이 아닌 원칙중심(principle based)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풀어서 설명하면 '물은 50도부터 뜨거운 것으로 한다'라는 규칙중심이 아닌 '물은 수증기가 발생하면 뜨거운 것으로 한다'라는 일종의 폭넓은 기준을 세웠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때 IFRS는 개별기업의 재무제표가 아닌 연결재무제표입니다. 따라서 여러 기업들이 하나의 경제적 실체를 구성하고 있다면 이를 통합한 연결재무제표가 기본재무제표로서 작성ㆍ공시되어야 합니다.
IFRS의 가장 큰 특징은 역사적 원가에 기초한 측정에서 공정가치 측정으로 대폭 그 방향을 전환하였다는 점입니다.
'회계의 모든 것 > 회계 잡지식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전산세무, TAT, FAT 자격 시험 준비 (0) | 2023.08.11 |
---|---|
국가별 회계8(일본) - 대손충당금환입이란? (0) | 2023.06.20 |
국가별 회계7(일본) - 수익 인식 기준이란? (1) | 2023.06.18 |
국가별 회계6(일본) - 경비 절감에 대해서3 (0) | 2023.06.17 |
국가별 회계6(일본) - 경비 절감에 대해서2 (0) | 2023.06.14 |
댓글